예전 node.js
의 많은 비동기 함수는 결과를 함수로 받는 콜백형태로 이루어져 있었다.
이로인해 여러 비동기 로직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코드를 보면 일명 Callback Hell
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.
asyncA((a) => {
asyncB((b) => {
asyncC((c) => {
asyncD((d) => {
return a + b + c + d;
});
});
});
});
이후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여러 라이브러리나 기술들이 나왔으나 지금은 주로 promise
와 async/await
를 활용한다.
사실 나는 angular
를 통해 js 를 본격적으로 사용했기에 비동기 처리를 rxjs
의 observable
을 사용해왔다.
하지만 백엔드 개발자가 된 이후로 api 를 개발하는데 사용하는 대부분의 함수가 promise
를 반환하다보니 observable
을 활용하지 않게되었다.
promise
를 본격적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이미 async/await
가 도입된 이후였고 동기적으로 보이는 코드를 작성하는데 큰 어려움 없었다.
그래서 굳이 then
이나 catch
구문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었다.
그러나 함수형 패러다임을 공부하면서 함수의 합성, 선언적인 코드, pointfree 에 대한 매력을 느꼈고 이를 then chaining
을 통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.
함수형 패러다임 중 난해한 monad
도 promise
와 비교하면서 생각하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.
그래서 이와 관련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.
함수로 나누기
다음과 같은 작업을 하는 코드를 작성한다고 가정해본다.
- user 테이블에서 주어진 id 에 해당하는 row 를 가져온다.
- 가져온 사용자에서 이름 필드만 추출한다.
- 추출한 이름을 대문자로 변경한다.
- post 테이블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은 이름과 같은 row 의 개수를 반환한다.
위 작업을 각각 함수로 만들었고 아래 형태의 타입이라고 생각해보자.
interface User {
id: number;
name: string;
// ...
}
declare function getUser(id: number): Promise<User>;
declare function getNameField(user: User): string;
declare function toUppercase(str: string): string;
declare function getPostCount(name: string): Promise<number>;
getUser
나 getPostCount
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는 것이기에 대부분 ORM 라이브러리들은 promise
를 반환할 것이다.
각 단계를 함수로 만들었고 이제 함수형 패러다임에서 주로 사용하는 합성을 하려고 한다.
함수의 합성
먼저 수학에서 이야기하는 합성을 소개해보면
한 함수의 공역이 다른 함수의 정의역과 일치하는 경우, 두 함수를 이어 하나의 함수로 만드는 연산이다.
수학에서 이야기하는 정의역과 공역을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의 파라미터와 반환 타입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.
즉 A 라는 함수의 반환 타입이 B 라는 함수의 파라미터와 일치하면 두 함수를 합성한 새로운 함수를 만들 수 있다.
declare function A(id: number): string;
declare function B(user: string): boolean;
function compose(id: number) {
return B(A(id));
}
위 성질을 이용해 이전 단계에서 나눈 함수들을 합성하려고 해보면 바로 문제가 발생한다.
getUser
함수는 Promise<User>
를 반환하지만 getNameField
의 파라미터는 User
이기 때문이다.
Promise<User>
는 내부에 User
를 갖고있을지라도 어쨋든 User
타입과는 일치하지 않는다.
Promise.prototype.then()
합성을 하기위해 getUser
의 반환값을 User
로 바꾸거나 getNameField
의 파라미터를 Promise<User>
로 바꾸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.
async/await
를 알고있다면 이 문제는 쉽게 해결된다는 것을 알고있지만 지금은 잠깐 무시하자.
데이터베이스에 가여오는 작업은 비동기 작업이기에 promise 를 제거하기에는 어렵고
getNameField
의 파라미터를 Promise<User>
로 변경하면 안에있는 User 를 가져와서 name 을 꺼내는 로직을 작성할 수 없게된다.
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promise 의 then 메소드가 있다.
const userNamePromise = getUser(100).then((user) => getNameField(user)); // Promise<string>;
then 메소드는 함수를 파라미터로 받고 promise 의 내부값을 해당 함수의 파라미터로 전달하고 그 반환값을 새로운 promise 로 감싼다.
따라서 위 코드의 반환값은 Promise<string>
가 된다.
string
이 아닌 Promise<string>
가 되는 이유는 then 메소드는 주어진 비동기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그 값을 then 파라미터로 받은 함수로 넘겨주겠다는 새로운 약속을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.
then 메소드가 promise 를 계속 반환하는 덕분에 계속해서 then 을 이용해 다음 함수를 넣어줄 수 있다.
const postCountPromise = getUser(100)
.then((user) => getNameField(user))
.then((name) => toUppercase(name))
.then((name) => getPostCount(name));
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위 코드를 아래와 같은 pointfree
방식으로 작성하기도 한다.
const postCountPromise = getUser(100)
.then(getNameField)
.then(toUppercase)
.then(getPostCount); // Promise<number>;
Flatten
이전 코드의 마지막 부분을 살펴보면 이상한 점이 있다.
getPostCount
는 Promise<number>
를 반환하고 then 메소드는 주어진 함수의 반환값을 다시 promise 로 감싼다고 했으니 최종 결과는 Promise<Promise<number>>
가 될거라는 생각이 든다.
하지만 결과가 Promise<number>
가 되는 이유는 then 메소드가 주어진 함수가 promise 를 반환하면 평탄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.
배열의 경우에도 이와 비슷하게 flatMap
이 있어서 파라미터로 주어진 함수가 배열을 반환해도 기존 차원이 그대로 유지된다.
const arrA = [1, 2, 3, 4, 5];
arrA.map((v) => [v + 1]); // [[2], [3], [4], [5], [6]]
arrA.flatMap((v) => [v + 1]); // [2, 3, 4, 5, 6]
마무리
지금까지 Promise<User>
를 반환하는 함수로 시작해서 여러 다른 함수를 거쳐 최종 Promise<number>
를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았다.
보통 nodejs 환경에서 하나의 파라미터와 하나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든다면 내부 로직에 비동기 작업의 여부에 따라 아래 형태 중 하나가 될것이다.
declare function syncFunc<A, B>(a: A): B;
declare function asyncFunc<A, B>(a: A): Promise<B>;
모든 함수가 syncFunc
형태라면 쉽게 합성이 가능하지만 하나라도 asyncFunc
이 있다면 promise 의 then 과 같은 메소드를 사용해야 한다.
즉 then 은 위 두가지 형태를 가진 함수의 합성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
이는 promise 가 monad 의 성질을 만족하기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다.
지금까지 monad 의 정의보다 monad 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에 대해 먼저 설명하였다.
그 이유는 모나드 괴담 이라고 불릴 정도로 monad 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있고,
nodejs 개발자에게 친숙한 promise 를 활용해 monad 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한다면 추후에 monad 를 이해하기 쉬울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.
다음 글에서는 async/await
를 활용해 파라미터 개수가 2개 이상인 함수에 대한 처리와 monad 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하려고 한다.
참고자료
- Promise.prototype.then()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Global_Objects/Promise/then